2025년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전자신고 방법 완벽 가이드
국민연금 EDI 건강보험 EDI 카드뉴스 안내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전자신고는 사업장 업무 시간을 줄이고 처리 지연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전자신고는 주로 국민연금 EDI와 건강보험 EDI를 통해 진행하며, 고용·산재 관련 안내와 최신 지표는 고용노동부 카드뉴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단계별 안내와 체크리스트, 오류 해결 팁을 따라 하시면 초보자도 무리 없이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전자신고 준비물 (공통)
- 인증서: 공동·금융·간편 인증서 중 사업장에 맞는 인증 수단
- 사업장 관리번호 및 담당자 기본 정보
- 신규/변경/정정할 근로자(자격취득·상실·보수변경 등) 데이터
팁: PC 보안프로그램(방화벽/광고차단 등)이 접속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접속 오류 시 다른 브라우저나 시크릿 모드로 시도하고, 보안 확장 기능은 잠시 해제하세요.
국민연금 EDI로 전자신고 (사업장)
- 국민연금 EDI 접속 → 상단의 로그인 클릭 (edi.nps.or.kr)
- 공동/금융/간편 인증으로 로그인 (사업장 관리번호 필요)
- 메뉴에서 신고/신청 → 자격취득·자격상실·보수월액 변경 중 해당 선택
- 근로자 정보 입력 → 첨부서류(필요 시) 업로드 → 제출
- 처리결과/접수증 확인(출력/저장) → 오류 발생 시 안내 문구에 따라 정정
자주 발생하는 오류 & 해결
- 인증서 인식 실패: 브라우저/보안모듈 재설치, 다른 브라우저로 재시도
- 중복 자격: 기존 취득 내역 검색 → 상실 처리 후 재신고
- 형식 오류: 주민번호·입사일·보수금액 형식 확인(숫자, 하이픈 등)
건강보험 EDI로 전자신고
- 건강보험 EDI 접속 (edi.nhis.or.kr) → 사업장 회원/인증서 로그인
- 상단 메뉴 신고 → 자격취득/자격상실/보수변경 등 해당 메뉴 선택
- 근로자·사업장 정보 입력 → 제출
- 접수결과·증명서 발급 메뉴에서 처리상태 확인 및 보관
Tip | 보수총액신고·산정 주의
- 성과급/상여 포함 여부를 내부 규정과 매칭해 산정
- 월평균 보수 270만 원 임계치 관리(두루누리 요건 영향)
- 인원 변동 시 10인 미만 유지 여부 상시 점검
신고 전 체크리스트 (PASONA)
- 근로자 요건: 월평균 보수 270만 원 미만, 신규 가입 중심
- 사업장 요건: 상시 근로자 10인 미만
- 지원기간: 누적 36개월 초과 여부 확인
- 체납: 사회보험료 미납 해소 후 진행
문제 상황별 빠른 대처
- 브라우저 에러: 크롬·엣지 교차 테스트, 시크릿 모드/확장해제
- 접속 지연: 점심/퇴근 시간대 피해서 접속
- 서버 점검 알림 시: 잠시 후 재시도, 긴급 건은 지사 전자팩스/우편 병행
마무리
전자신고는 처리속도와 정확성을 동시에 잡는 방법입니다. 위의 국민연금 EDI와 건강보험 EDI 경로로 접속해 즉시 진행해 보세요. 최신 제도 요약은 고용노동부 카드뉴스 버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EDI 건강보험 EDI 카드뉴스 안내

